-
202018.06
인셀, 獨 인터솔라 참가…가정용 ESS 신제품 선봬인셀, 獨 인터솔라 참가…가정용 ESS 신제품 선봬2018.06.20 정현정 기자<인셀의 주거용(Residential) ESS 신제품.>에너지저장장치(ESS)·배터리 전문업체 인셀(대표 정창권)은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인터솔라 유럽 2018\'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신제품은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가정용(Residential) ESS다.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ESS 배터리에 저장해뒀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다. 배터리 여러 개 연결하면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전력 소비량이 다양한 유럽 가정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인셀은 ESS를 비롯해 다양한 제품의 배터리 팩을 생산하는 회사다. 삼성SDI의 소형 배터리 셀을 이용한 패키징부터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전력제어시스템(PM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모든 자체 생산한다.인셀이 사용하는 배터리 셀은 삼성SDI가 ESS 전용으로 출시한 21700(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 셀이다. 고온에 대한 내구성이 강화돼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장수명, 고효율의 특징을 갖는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tnews.com/20180620000176
2018-06-20
-
- 112
-
232018.04
인셀, 해외시장 겨냥 가정용 ESS 신제품 6월경 출시예정인셀, 해외시장 겨냥 가정용 ESS 신제품 6월경 출시예정2018.04.23 이주야 기자|전 세계적으로 전력 수급 안정화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따른 불규칙적이고 단속적으로 생산되는 전력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기를 띠고 있다.원통형 소형Cell 기반 배터리 제조기술로 국제 무대 진출 본격화[인더스트리뉴스 이주야 기자] ESS 및 배터리 전문기업 인셀은 코트라의 지사화 사업지원을 통해 유럽과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시장개척을 꾀하고 있다. 인셀 진용수 상무는 “해외시장을 겨냥한 가정용 ESS 신제품을 준비해 6월에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EES 전시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현재 독일, 일본, 미국 등은 기술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해 실증사업을 적극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ESS 도입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에너지 규제와 세제 지원 등을 병행하고 있어 가정용 ESS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이에 인셀은 전 세계 시장을 목표로 기존 유통망 확대, 해외 전시회 참여 등 관련제품 산업의 최신기술, 인적교류, 정보공유 등을 통해 마케팅 핵심역량을 강화해 판로를 확보하고,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 사업망을 구축해나갈 예정이다.인셀이 테슬라와 동일한 셀을 적용한 ESS 및 배터리 솔루션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테슬라의 서호주 ESS 프로젝트 전경 [사진=인셀]인셀은 삼성SDI의 원통형 소형Cell을 사용해 ESS용 배터리 시스템을 제작하는 국내 유일한 회사로 자체 보유한 BMS 기술과 패키징 기술을 바탕으로 ESS용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ESS의 경우 PCS를 제외한 ESS의 핵심요소인 배터리와 EMS를 직접 제작하고 시스템 설계 및 시공은 물론 PF 조달에 이르기까지 토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각 제조사가 다른 제품들을 조합해 발생할 수 있는 운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리스크를 없애고 가격 경쟁력까지 갖출 수 있게 되었다.인셀의 소형Cell 기반 배터리 제조기술은 기술 그 자체 이외에도 소형Cell이 지니는 여러 장점과 결합해 중소기업의 기술 독립 및 독자생존이 어려운 여건 임에도 불구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리튬이온배터리’ 시장에서도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진용수 상무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지금까지 장기간 판매된 유일한 Cell로써 그 품질과 안정성은 이미 검증을 마쳤고, 다양한 솔루션에 적용돼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해 생산 이력이 짧은 중대형Cell 대비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인셀 진용수 상무 [사진=인더스트리뉴스]특히 유지보수의 간편성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단위용량이 수십Ah 이상인 중대형Cell의 경우 단전지 불량 발생 시 배터리 전체에 미치는 고장 파급이 클 수 밖에 없으며 수리 또한 불가능해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그러나 소형Cell의 경우 고장 파급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해당Cell에만 교체가 가능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이에 대해 진용수 상무는 “유지보수는 배터리 전체의 운용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게 만드는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면서, “제조사별로 각기 다른 규격과 용량, 빠르게 발전하는 리튬이온전지의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중대형Cell보다 표준화된 소형Cell은 유지보수 측면에서 훨씬 더 유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발전된 전기의 사용량을 늘리는 대신 계통에서 발생하는 각종 수급불안정을 해소하는 역할을 바로 인셀이 공급한 배터리가 담당하고 있다고 언급한 진용수 상무는 “울주 변전소에 24MW를 공급했고 지난 2017년에는 전국 각 지역에 약 50MWh에 달하는 PV 연계형 ESS를 설치해 현재 안정적으로 운영 중에 있다”면서, “올 한해도 상반기에 약 50MWh의 PV 연계형 ESS를 설치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83
2018-04-23
-
- 125
-
102018.04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 대한민국 LED 산업전] 인셀, 삼성SDI 셀 사용한 올인원 ESS 선봬[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 대한민국 LED 산업전] 인셀, 삼성SDI 셀 사용한 올인원 ESS 선봬2018.04.10 유은정 기자인셀은 4월 4일(수)부터 6일(금)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 대한민국 LED 산업전\'에 참가해 올인원 ESS를 선보였다.올인원 ESS는 일체형 ESS로 삼성 SDI의 리튬이온배터리를 적용한 최대 용량 설계 시스템이다. 기존 제품보다 용량이 30% 향상됐고 냉난방시스템, BMS, 모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용도 절감됐다. 태양광 100KW 연계형 제품은 사업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리튬 배터리는 삼성 SDI의 고성능 표준셀을 적용해 고효율과 오랜 수명을 보장한다.인셀은 에너지와 배터리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ESS 개발 외에도 통신용 제품을 탄자니아에 납품하고 있다. 한국전력의 회원사로서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 발전하고 있다. 오는 6월에는 유럽 인터솔라 전시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이번 엑스포에 참관객이 많이 몰린 것 같다\"면서 \"수출 바이어 및 고객 상담이 많이 이루어져 내년에도 참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한편, 15회를 맞이한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국내에서 대표되는 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이며 올해는 특히 LED산업전과 통합 개최돼 규모가 훨씬 커졌다. 태양광 및 재생에너지 업계 성장에 힘입어 참가기업이 30% 증가했으며 280여개 기업(800부스)이 몰렸다. 해외 바이어도 85개사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됐다. 국제그린에너지에서는 태양광, ESS(에너지저장시스템)&배터리, 스마트 그리드 기술, 풍력, 신재생에너지 등의 전시 분야를 만나볼 수 있으며 LED 산업전에서는 실내등, 실외등, 해양수산, 디스플레이, 농생명, 메디바이오, 사인물, 부품 등의 품목을 접할 수 있다.기사 원문 보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385317&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2018-04-10
-
- 104
-
052018.04
[포토] 인셀, 올인원 ESS 통해 태양광발전 사업 수익 극대화 보장한다[포토] 인셀, 올인원 ESS 통해 태양광발전 사업 수익 극대화 보장한다2018.04.05 최홍식 기자|인셀(대표 정창권)은 태양광산업 시장에서 BMS 기술과 패키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최근 100kW급 태양광과 연계해 활용가능한 올인원 ESS 제품을 출시했다. 이 올인원 제품은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 설계로 이뤄졌으며,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품이라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다.[인더스트리뉴스 최홍식 기자] 인셀(대표 정창권)은 태양광산업 시장에서 BMS 기술과 패키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최근 100kW급 태양광과 연계해 활용가능한 올인원 ESS 제품을 출시했다. 이 올인원 제품은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 설계로 이뤄졌으며,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품이라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72
2018-04-05
-
- 118
-
052018.04
인셀, 국제그린에너엑스포 참가 21700 배터리 시스템 선보여인셀, 국제그린에너엑스포 참가 21700 배터리 시스템 선보여2018.04.05 정현정 기자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제그린에너엑스포에 참가한 인셀 부스 전경.>인셀은 4일부터 6일까지 사흘 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국제그린에너엑스포에 참가해 21700(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를 적용한 신형 배터리 시스템과 올인원 타입의 274kWh급 저상형 배터리 함체를 선보였다고 밝혔다.21700을 적용한 신형 리튬배터리 시스템은 기존 표준이었던 18650 보다 용량이 35% 향상된 제품으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수명과 효율이 개선됐다.또 트레이 간 통신케이블과 연결 버스바가 매입형으로 제작돼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올인원 타입 274kWh급 저상형 배터리 함체는 태양광100kW 발전소에 특화된 제품으로 배터리 용량을 최적화하고 설치비용을 크게 낮춰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tnews.com/20180405000289
2018-04-05
-
- 100
-
272018.03
[미리보는 그린에너지엑스포] 인셀, 에너지저장장치(ESS) 소개 예정[미리보는 그린에너지엑스포] 인셀, 에너지저장장치(ESS) 소개 예정2018.03.27 이은실 기자인셀은 오는 4월 4일(수)부터 6일(금)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018\'에 참가해 차세대 원통형전지 표준인 21700(지름 21㎜, 높이 70㎜) 배터리를 적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소개할 예정이다.인셀은 4일부터 6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국제그린에너지전시회에 참가해 삼성SDI의 21700 배터리셀을 적용한 신형 배터리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21700은 기존 표준이었던 18650 배터리셀보다 용량이 35% 이상 향상된 제품이다.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수명과 효율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삼성SDI 21700 배터리셀은 테슬라가 호주에 설치한 125㎿h 규모 ESS에도 적용된 바 있다.태양광 연계 올인원 ESS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으로 설계돼 15년 이상 사업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 인셀은 2010년 국내 최초로 태양광 0.5㎿h급 ESS를 설치한 기업으로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ESS 설치에 주력해왔다. 지난 한해 동안 전국 각지에 50㎿h 규모 태양광(PV) 연계형 ESS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인셀의 ESS는 한전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변전소에 설치돼 성능을 검증 받았다.한편,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주)엑스코,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수소산업협회, 코트라가 주관하는 국제 무역 전시회다. 글로벌 기업이 참가 및 공식 후원하는 행사이며 PHOTON-International 선정 \'세계 10대 태양광 전문 전시회\'로 인정받았다. 실제 구매력을 갖춘 국내외 바이어 및 전문참관객 대거 방문해 매년 높은 사업 성과를 보이고 있다.기사 원문 보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384900&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2018-03-27
-
- 122
-
152018.03
인셀, SWEET 2018에서 신제품 선보여인셀, SWEET 2018에서 신제품 선보여2018.03.15 김예지 인턴기자에너지저장장치(ESS) 및 배터리 전문기업인 인셀이 광주에서 열리는 에너지전시회인 SWEET 2018에 참여해 신제품을 선보인다.인셀 측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하는 신제품은 삼성 SDI가 ESS 전용 셀로 출시한 21700Cell을 적용한 배터리로, 기존 18650Cell 보다 용량이 35%이상 향상된 제품”이라고 밝혔다. 삼성 SDI의 21700Cell은 테슬라가 호주에 설치한 대규모 ESS(1205MWh)에 적용된 바 있어 성능과 효율의 우수성이 입증된 ESS 전용 Cell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또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태양광 연계 올인원 ESS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으로 설계됐다. 인셀 측은 해당 제품이 “사업자의 수익을 15년 간 극대화하는 데 최적화된 상품”이라고 소개했다.인셀은 2010년 0.5MWh 규모의 태양광 연계 ESS를 설치를 시작으로 한전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변전소 등에 ESS를 설치하며 제품 성능을 검증받아왔다. 지난해에는 태양광 연계형 ESS를 전국에 50MWh 규모로 설치, 운영 중에 있으며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보완하는 ESS 설치에 주력하고 있다.진용수 인셀 상무는 “이번 전시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이며 업계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며 \"예년에 비해 올해 전시회 참석 인원도 많고 부스에 들려 제품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늘었다“고 말했다.한편 인셀은 이번 SWEET 2018 전시회에서 삼성 SDI와 함께 ESS 동향을 주제로 기술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전시회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열린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1113998154880002
2018-03-15
-
- 105
-
142018.03
(SWEET2018)인셀(주), ESS 전용 셀 '21700 Cell' 제품 선봬(SWEET2018)인셀(주), ESS 전용 셀 \'21700 Cell\' 제품 선봬기술경쟁력으로 한전 등 고객층 확대 공략2018.03.14 남형권 기자정창권 인셀 대표(좌측)가 윤장현 광주시장 등 내외귀빈에게 새롭게 선보인 ESS제품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배터리 전문생산 업체인 인셀이 신제품 \'21700 Cell\'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나섰다.특히 인셀 측은 14일부터 3일간 열리는 \'SEET2018\'에 참가에 신제품 출시와 함께 참관객들에게 신제품에 대한 대외홍보에 적극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비록 중소기업이지만 대기업과 손잡고 최고 품질의 경쟁력있는 제품을 만들어 ESS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ESS 및 배터리 전문기업으로 성장해온 인셀은 2010년 국내 최초로 태양광 0.5MWh급 ESS를 설치한 기업으로 이미 인셀의 ESS제품은 한전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변전소에 설치되어 성능을 검증 받았다. 인셀은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ESS설치에 힘써왔는데, 작년 한 해만 전국 각지에 50MWh에 달하는 PV 연계형 ESS를 설치해 현재 안정적으로 운영 중에 있다.인셀이 이번 전시회에서 새롭게 소개하는 신제품은 삼성 SDI가 ESS 전용 Cell로 출시한 21700 Cell을 적용했다.이 제품은 기존 18650 Cell 보다 용량이 35%이상 향상된 제품으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수명과 효율이 향상돼 태양광 사업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삼성 SDI의 21700Cell은 테슬라가 호주에 설치한 대규모 ESS(125MWh)에 적용된 바 있어 성능과 효율의 우수성이 입증 된 바 있는 ESS 전용 Cell이라는 것 또한 이번에 소개될 태양광 연계 올인원 ESS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 설계되어 15년이상 사업자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최적화된 제품이다.정창권 인셀 대표는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위주의 영업을 통해 \'인셀\'이라는 회사 브랜드를 널리 홍보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인셀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을 만들어가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인셀은 이번 \'SWEET2018\' 전시회에서 삼성SDI와 공동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기술 동향 주제로 기술세미나를 개최해 ESS 시장 확대와 기술개발에 대한 강력한 회사의 이미지를 강조했다고 평가했다.21700 Cell을 적용한 신형 배터리시스템.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nertop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5
2018-03-14
-
- 130
-
132018.03
인셀, 삼성SDI 21700 배터리셀 적용 ESS 출시인셀, 삼성SDI 21700 배터리셀 적용 ESS 출시2018.03.13 정현정 기자<21700 배터리셀을 적용한 신형 배터리시스템. <사진=인셀>>ESS·배터리 전문업체 인셀이 차세대 원통형전지 표준인 21700(지름 21㎜, 높이 70㎜) 배터리를 적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출시한다.인셀은 14부터 16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국제에너지전문전시회 SWEET(Solar, Wind & Earth Energy Trade Fair) 2018에 참가해 삼성SDI의 21700 배터리셀을 적용한 신형 배터리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21700은 기존 표준이었던 18650 배터리셀보다 용량이 35% 이상 향상된 제품이다.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수명과 효율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삼성SDI 21700 배터리셀은 테슬라가 호주에 설치한 125㎿h 규모 ESS에도 적용된 바 있다.태양광 연계 올인원 ESS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저상형으로 설계돼 15년 이상 사업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인셀은 SWEET 2018 전시회 개막일인 14일 배터리셀을 제공하는 삼성SDI와 함께 ESS 기술 동향을 주제로 기술세미나도 개최한다.인셀은 2010년 국내 최초로 태양광 0.5㎿h급 ESS를 설치한 기업으로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ESS 설치에 주력해왔다. 지난 한해 동안 전국 각지에 50㎿h 규모 태양광(PV) 연계형 ESS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인셀의 ESS는 한전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변전소에 설치돼 성능을 검증 받았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tnews.com/20180313000145
2018-03-13
-
- 140
-
062017.04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인셀, 태양광 연계 ESS 소개[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인셀, 태양광 연계 ESS 소개2017.04.06 박지연 기자인셀(대표 정창권)은 4월 5일(수)부터 7일(금)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17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 참가해 태양광 연계 ESS를 소개했다.배터리 전문기업 인셀은 국내 최초로 태양광 100kW급 ESS를 설치한 기업이다. 컨테이너식 ESS에는 배터리와 PCS, AC/DC 배전함, 공조기, UPS 등이 설치되며 인셀은 ESS 핵심인 리튬배터리를 비롯해 모든 구성요소를 자체적으로 생산한다. 인셀의 ESS는 한전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변전소에 설치돼 성능을 검증받았다.한편 올해 14회를 맞는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수소산업협회가 주관하는 국제 무역 전시회로 독일 포톤인터내셔널(PHOTON-International)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태양광 전문 전시회다. 특히 올해는 실제 구매력을 갖춘 국내외 바이어 및 전문참관객이 대거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기사 원문 보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377162
2017-04-06
-
-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