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2016.09
윤장현 광주시장, 명품강소기업 방문…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공유윤장현 광주시장, 명품강소기업 방문…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공유2016.09.26 이미애 기자▲ 윤장현 광주시장이 이은방 광주시의회 의장과 함께 26일 오후 명품강소기업 인셀㈜ 생산현장을 방문해 돌아보고 있다. (제공: 광주시) ⓒ천지일보(뉴스천지)26일부터 30개사 방문, 현장 목소리 청취[천지일보 광주=이미애 기자]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은방 광주시의회 의장이 26일부터 올해 선정된 명품강소기업 30개사를 방문한다.윤 시장의 이번 산업현장 방문 목적은 생산현장 근로자를 격려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등 기업인과 소통하며 애로사항을 직접 파악해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방문 첫날인 26일에는 첨단과학산업단지에 위치한 인셀㈜, ㈜광진산업, ㈜코셋, 케이엘텍㈜, ㈜한국필터시험원 등 5개사를 차례로 찾았다.기업 관계자들은 자금, 수출 인력지원 등 기업 육성사업의 적극적인 안내와 기업 및 제품 브랜드 제고를 위한 마케팅 지원 등을 요청했다.윤 시장은 “기업의 의견과 애로사항 해소책을 검토해 시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며 “명품강소기업 지원사업의 하나로 10월부터 기업진단과 컨설팅을 추진하고 본격 맞춤형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또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도에서 광주 미래를 위해 강소기업의 역할이 막중하다”며 “명품강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명품강소기업은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진 지역 중소·중견기업을 발굴해 지역경제를 견인할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선6기 윤장현 시장이 역점 추진하는 중소기업 지원정책이다.2014년 30개 기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90개사를 선정해 지원했고, 2017년까지 총 100개사를 육성할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은 최대 3년 동안 자금지원과 경영컨설팅, 해외마케팅, 판로개척 등 기업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사업을 맞춤형으로 지원받게 된다.한편 이날 방문한 인셀㈜는 리튬배터리 및 통신용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을 제조 공급하는 업체로 미국, 독일, 일본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광진산업은 전자제품 시제품 개발 및 제작업체로 공기청정기, 그린 대기전력 콘센트 등의 사업화를 진행 중이다.코넥스 상장업체인 ㈜코셋은 통신용 광증폭기 생산업체로서 매출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는 광주 수출 효자업체이다. 케이엘텍㈜는 광주 LED 업체 최초 KS 인증을 획득한 조달청 우수기업으로, 특허를 30여건 이상 보유하고 있는 기술혁신형 기업이다.㈜한국필터시험원은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공기필터와 공기정화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은 업체로, 원자력 산업용 헤파필터 성능시험을 수행하고 있다.윤 시장은 오는 29일 ㈜상오정밀, ㈜월드플러스전자, ㈜이앤비소프트 등 3개사를 방문할 예정이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76788
2016-09-26
-
- 95
-
272016.04
한전-인셀, 유럽에 2700억원 규모 통신용ESS 수출한전-인셀, 유럽에 2700억원 규모 통신용ESS 수출2016.04.27 이상복 기자▲ (왼쪽부터) 정창권 인셀 대표, 조환익 한전 사장, 스테판 incell int\'l ab 대표가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이투뉴스] 한전(사장 조환익)과 통신용 ESS·산업용 UPS 배터리시스템 전문기업인 인셀(대표 정창권)이 유럽시장에 2700억원 규모의 ESS(전력저장장치) 수출한다. 양사는 27일 서울 양재동 한전아트센터에서 스웨덴 INCELL International AB사와 2700억원 규모 ‘통신용 ESS 제품 유럽시장 진출 협약’을 체결했다.ESS·UPS 전문 강소기업인 인셀은 2008년 지능형축전기 개발을 시작으로 2012년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 지난해 24MW급 FR용 ESS 구축사업 등 정부와 한전의 R&D·실증사업 참여를 기반으로 이번에 해외시장 진출의 성과를 올리게 됐다. 스웨덴의 INCELL International AB는 인셀에서 생산한 제품을 유럽시장에 판매하는 회사이며, 이번 협약식에는 스웨덴 대사도 자리를 함께 했다. 2700억원 규모의 통신용 ESS 제품을 유럽시장에 판매하는 이번 협약은 에너지밸리 투자기업의 첫번째 대규모 해외수출 사례다.대규모 양산시설을 보유하지 못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지역기반의 중소기업이 지속적인 R&D와 실증사업을 통해 글로벌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우리나라 주력산업인 반도체, 자동차, 조선산업 등의 수출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이룩한 이번 성과는 에너지신산업이 향후 한국경제 미래 성장동력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조환익 한전 사장은 “에너지밸리를 성공적으로 조성해 에너지신산업 분야에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하여 정부정책에 적극 부응할 것”이라며 “해외진출 유망 중소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제2, 제3의 인셀과 같은 에너지밸리 투자기업의 성공스토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정창권 인셀 대표는 “인셀의 성장에는 한전의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이 큰 힘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에너지신산업 분야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지원과 한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기사 원문 보기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2708
2016-04-27
-
- 82
-
152013.03
[SWEET 2013]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 저장장치(ESS) 선보인 '인셀'[SWEET 2013]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 저장장치(ESS) 선보인 \'인셀\'2013.03.15 유나영 기자인셀(대표 정창권, www.incell.kr)은 3월 13일부터 15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신재생에너지 전문전시회 \'SWEET 2013(Solar, Wind & Earth Energy Trade Fair)\'에 참가해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선보였다.(사진설명: 가정용 ESS)인셀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리튬이온 배터리팩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배터리 전압과 온도 등의 배터리 관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BMS을 적용해 과충전 혹은 과방전을 막을 수 있다.가정용 제품의 경우에는 전력이 원할하지 않은 일본, 나이지리아, 콩고 등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산업용의 경우에는 현재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사용하고 있다.한편 UFI 인증, 지식경제부 선정 7년 연속 유망전시회 SWEET 2013(www.sweet.or.kr)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지난해 총 2억 9000만불의 수출상담, 902억여원의 투자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올해 SWEET 2013은 태양광, 풍력, 바이오, 태양열, 스마트그리드, 지열, 연료전지, LED, 에너지효율, 수소, 바이오 및 미활용에너지, 조력, 폐기물 등 관련 분야의 전 제품을 총망라할 예정이다.(사진설명 : 산업용 ESS)기사 원문 보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583649
2013-03-15
-
- 83
-
082012.11
[그린카 전시회 현장] 인셀, 친환경 리튬이온 적용한 다양한 배터리팩 전시[그린카 전시회 현장] 인셀, 친환경 리튬이온 적용한 다양한 배터리팩 전시2012.11.08 신두영 기자인셀(대표 정창권, www.incell.kr)은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그린카 코리아 2012(Green Car Korea 2012)\'에 참가해 친환경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한 배터리팩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선보였다.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리튬이온 배터리는 용도에 알맞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설계됐으며, 배터리팩은 골프카, 무인방송차(AGV), 태양광 가로등, 농업용 승용관리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인셀은 삼성SDI와 ESS 및 배터리팩을 공동으로 개발, 생산하여 국내 시장은 물론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2012년 지식경제부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 ESS 구축업체로 선정됐다.한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그린카 전문전시인 이번 전시는 7개국 120개업체 300부스 규모로 개최되며, KOTRA와 공동주관으로 90명의 해외바이어를 초청, 참가업체들과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한다. 하이브리드카, 플러그인전기차, 디젤차,클린디젤차, 전기버스,수소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다양한 그린카들이 전시될 예정이며 그린카 관련 각종 기술 및 세미나가 함께 공개된다.기사 원문 보기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392969
2012-11-08
-
- 110